논문검색 KOREA SOCIETY OF EVANGELICAL PRACTICAL THEOLOGY

pISSN: 1976-5614

복음과실천신학, Vol.65 (2022)
pp.101~135

DOI : 10.25309/kept.2022.11.15.101

- 코로나(COVID-19) 이후,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비대면 활동으로 점철되는 설교적 역할에 관한 연구 -

김효성

(은혜교회)

전 세계는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해 구조적 붕괴를 경험하였고 여기 서 파생된 코로나 디바이드 현상은 한국 교회에게 사회적 소통이라는 과제를 안겨다 주었다. 전통적 교회를 이끌어 왔던 콘택드적 상황이 반대 상황인 언택트적 상황으로 급변하면서 교회 내부에 전통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던 대면 활동들이 비대면 활동으로 전환되는 시스템적 변화를 요구받게 된 것이다. 이러한 급변의 시간을 지나 한국정부의‘거 리두기 해제 선언’으로 인해 한국교회는 또 다른 변화에 직면하게 되 었다. 27개월이라는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은 온라인 예배에 익숙해져 버렸고 설교자들은 뉴노멀시대의 새로운 비대면 활동으로 점철되는 설 교적 역할을 요구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뉴노멀시대를 맞이하게 된 설 교자가 사회와 교회의 소통력을 어떻게 키워나갈지와 뉴노멀시대를 이 끌 기술력을 활용한 새로운 설교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뉴노멀시대로의 전환은 3가지의 큰 변화를 동반한다. 첫째, 공교회 로의 전환이다. 뉴노멀시대에는 설교에 대한 경계선이 교회 밖으로 더 욱 확장될 것이며 온라인 설교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제는 교단마다 상이하게 이해 되어지는 교리적 분쟁과 정치적 이해를 뛰어넘어 복음적 석의를 전제로 한 성경의 프레임 안에 서 하나 된 복음을 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메타버스로의 전환 이다. 메타버스 기술은 가상 세계 유형의 유희적 서비스 형태로 출발하 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기존 유형 간 융복합 형태로 진화되고 있다. 셋째, 프레카리아트로의 전환이다. 이는 인지노동자들을 뜻하는 말로 디지털 기기로 학습하고 디지털 환경에 익숙해진 인간은‘탈감각화’로 인해 타인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 어느 때보다 도 뉴노멀시대는 불통과 불안정의 시대이며 공감과 이해의 부재라는 문제 속에서 살아가게 될 것이다. 뉴노멀시대는 이러한 불통과 불안정 의 시대를 뚫어낼 새로운 형태의 설교를 요하고 있다.

A study on the preaching role dotted with social communication and new non-face-to-face activities in the new normal era after Corona (COVID-19).

Kim, Hyo sung

The world has experienced structural collapse due to the corona pandemic, and the corona divide phenomenon derived from this has given the Korean church the task of social communication. As the contact situation that had led the traditional church rapidly changed to the opposite situation, the untact situation, a systemic change was required in which face-to-face activities that had been established as traditional elements within the church were converted into non-face-to-face activities. After such a time of rapid change, the Korean church was faced with another change due to the Korean government’s ‘declaration to lift social distancing’. During the 27 months, many people became accustomed to online worship, and preachers were required to play a sermon role filled with new non-face-to-face activities in the new normal era. This study suggests how a preacher facing the new normal age will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society and the church and a new sermon format using technology that will lead the new normal age. The transition to the new normal is accompanied by three major changes. First, it is a transition to a public church. In the new normal era, the boundaries of sermons will expand beyond the church and the dependence on online sermons will increase. For this reason, now, beyond the doctrinal disputes and political understandings that are understood differently for each denomination, one must be able to voice the unified gospel within the frame of the Bible based on evangelical exegesis. Second, the transition to the metaverse. Metaverse technology started out as a playful service form of a virtual world type, but as time passes, it is evolving into a form of convergence between existing types. Third, the transition to precariat. This refers to cognitive workers, and human beings who learn with digital devices and become accustomed to the digital environment lose their ability to empathize and understand others due to ‘desensitization’. More than ever, the new normal era is an era of impotence and instability, and we will live in the problem of a lack of empathy and understanding. The new normal era requires a new type of preaching that will break through this era of incompatibility and instability.

다운로드 리스트